파이썬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필요한 폴더(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코드를 자주 작성합니다.
특히 pathlib 모듈을 사용할 때는 mkdir() 메서드의 두 가지 옵션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옵션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기본 코드 예시
for dir_path in [DATA_DIR, RAW_DATA_DIR, PROCESSED_DATA_DIR, MODEL_OUTPUT_DIR]:
dir_path.mkdir(parents=True, exist_ok=True)
두 가지 중요한 옵션
왜 이 옵션이 필요할까?
- parents=True가 없으면 상위 폴더가 없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 exist_ok=True가 없으면 이미 폴더가 존재할 경우 오류가 나버립니다.
→ 이 두 가지를 함께 쓰면 코드가 훨씬 안전하고 견고해집니다.
한 줄 요약
✔️ mkdir(parents=True, exist_ok=True)는
✔️ "폴더가 없으면 만들고, 있어도 에러 없이 넘어가는 안전한 디렉토리 생성 방법"입니다!
'Data-Driven System Development > Project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 언더스코어 두 개(__)와 Name Mangling(맹글링)의 차이 (0) | 2025.04.27 |
---|---|
파이썬에서 변수명을 대문자로 쓰는 이유는? (0) | 2025.04.27 |
os.path vs pathlib.Path – 파이썬 경로 처리 방식 차이 이해하기 (0) | 2025.04.27 |
utils의 뜻 (0) | 2025.04.06 |
컨벤션이란?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