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드에서 가끔 PROJECT_ROOT, **DATA_DIR**처럼
모두 대문자로 작성된 변수명을 볼 때가 있습니다.
"왜 소문자가 아니라 대문자로 썼을까?" 궁금해본 적이 있다면,
이 글을 통해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대문자 변수는 "상수"를 의미한다
파이썬에서는 변하지 않는 값(상수, Constant) 을
대문자+언더스코어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예를 들어:
PROJECT_ROOT = Path(__file__).resolve().parent
DATA_DIR = PROJECT_ROOT / "data"
여기서 PROJECT_ROOT, DATA_DIR는
코드 실행 중에 변하지 않을 값을 저장하는 용도입니다.
왜 대문자로 작성할까?
공식 권장사항 (PEP8)
파이썬 스타일 가이드(PEP8)에서도 이렇게 권장합니다:
"Constants are usually defined on a module level and written in all capital letters with underscores separating words."
(상수는 모듈 수준에 정의되며, 모든 단어를 대문자로 쓰고 언더스코어로 구분한다.)
한 줄 요약
✔️ 파이썬에서 대문자로 작성된 변수는 '상수'를 나타낸다.
✔️ 코드의 가독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관례다!
'Data-Driven System Development > Project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 언더스코어 두 개(__)와 Name Mangling(맹글링)의 차이 (0) | 2025.04.27 |
---|---|
파이썬 pathlib에서 디렉토리 생성할 때 알아야 할 두 가지 옵션 (0) | 2025.04.27 |
os.path vs pathlib.Path – 파이썬 경로 처리 방식 차이 이해하기 (0) | 2025.04.27 |
utils의 뜻 (0) | 2025.04.06 |
컨벤션이란?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