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의 각 격자(200 x 200)의 위험도 순위를 선정하기 위해 QGIS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였습니다.
격자 위험도 순위
1. 서울 시 격자
위험도를 선정하기 위해 서울 시를 200 x 200 크기의 격자로 나눈 후, 이를 서울 시 격자 데이터로 저장하였습니다.
2. 서울 시 안전 시설물
2.1 CCTV

2.2 안전 센터
2.3 데이터 적재
QGIS를 활용하여 각 안전시설물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적재하였습니다.
3. 거리 계산
거리 행렬을 이용한 격자와 안전 시설 간 거리 계산를 계산하였습니다. 데이터 수가 적은 안전 시설과 안전 비상벨의 경우, 각 격자마다 가장 가까운 두 지점(안전 시설, 안전 비상벨)을 지정하고 각 격자와의 거리를 계산함
4. Multi Ring Buffer
Multi Ring Buffer 이용한 격자와 안전 시설 간 차등 점수 계산하였습니다. 쉼터와 안전 시설물의 경우 Multi Ring Buffer를 사용하여 각 격자와의 차등 점수를 계산함
5. 격자 내 갯수
격자에 포함하는 cctv 개수 계산하였습니다. cctv의 경우, 폴리곤에 포함하는 cctv 개수를 계산
6. 순위 선정
안전 시설과의 거리, 버퍼 차등 점수, 폴리곤에 포함하는 개수 등을 합해 위험도 순위를 산출
데이터 프레임 생성
'Spatial Analysis > 2024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적의 순찰경로 추천 시스템 및 위험도 모니터링 시스템(시스템 개발) (0) | 2024.06.09 |
---|---|
최적의 순찰경로 추천 시스템 및 위험도 모니터링 시스템(위험도 산출) (2) | 2024.06.09 |
최적의 순찰경로 추천 시스템 및 위험도 모니터링 시스템(순찰 경로 추천 알고리즘 개발) (4) | 2024.06.09 |
최적의 순찰경로 추천 알고리즘 및 위험도 모니터링 시스템(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0) | 2024.06.09 |
최적의 순찰 경로 추천 알고리즘 및 위험도 모니터링 시스템(제안 배경) (0)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