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서울의 구의 원두+생두 수입중량을 이용하여 상권의 커피박 배출량을 구하겠습니다. 앞에 블로그에서 서울의 상권과 상권에 해당하는 구에 대해서 위치 결합을 했습니다. 그 이유는 서울의 구별 분기 수입 금액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수입 금액을 통해 수입중량을 구하고 수입중량을 통해 커피박 배출량을 구했습니다.
수입중량을 이용한 커피박 배출량(상권)
구 연도 분기 상권 점포수 수입중량 커피박 배출량
구간 추정
상권 상권수입중량 커피박량 평균 L_value H_value 신뢰구간 차이
저번 블로그의 코드를 이용하여 똑같이 구간추정했습니다. 데이터 프레임 해석은 분기별 커피박 배출량입니다. 또한 위의 데이터 프레임에서 신뢰구간을 구한 후 상권을 기준으로 그룹으로 묶었습니다. 그래서 전체 데이터는 서울 상권의 개수인2,545개가 나옵니다.
'Spatial Analysis > 2022 데이터 분석.활용 공모전(행안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박 프로젝트(농가와 상권의 거리 계산과 결과물) (0) | 2022.11.17 |
---|---|
커피박 프로젝트 H (농가 커피박 필요량 추정) (0) | 2022.11.15 |
커피박 프로젝트 E (상권 데이터 결합) (0) | 2022.11.15 |
커피박 프로젝트 A (상권의 카페 현황) (0) | 2022.11.04 |
커피박 프로젝트 F (서울 상권의 시군구와 원두 수입량)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