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Domain)이란?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어떤 컴퓨터(서버)를 사람이 읽기 쉬운 주소로 표현한 거야.
예를 들어:
- https://www.google.com ← 도메인
- 사실은 → 142.250.206.78 같은 IP 주소로 연결돼
📌 왜 도메인을 쓰는가?
- 사람은 숫자(IP)보다 **단어(도메인)**를 기억하기 쉬움
- jupyter.mlops.io, gitlab.example.com 같은 주소를 통해 쉽게 접속
IP 주소란?
IP 주소는 컴퓨터나 서버가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고유 주소야.
인터넷 상의 “주소지” 같은 개념이야.
- 예: 127.0.0.1 = loopback 주소 (자기 자신)
- 192.168.0.1, 10.0.0.1 = 사설 IP
- 142.250.206.78 = 공인 IP (예: 구글 서버)
로컬 IP 주소란?
로컬 컴퓨터(=내 PC) 내부에서만 통하는 IP 주소를 말해.
대표적인 것들:

용도:
- 서버 없이도 개발/테스트용으로 내 PC에 서비스 실행
- 외부와 연결 없이도 내부에서 도메인 테스트 가능
도메인을 로컬 IP 주소로 매핑한다는 건?
특정 도메인 이름이 내 컴퓨터를 가리키도록 연결하는 것을 말해.
예:
127.0.0.1 gitlab.mlops.io
이걸 /etc/hosts에 설정하면,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http://gitlab.mlops.io 입력할 때
- 운영체제는 DNS 서버를 거치지 않고
- 해당 도메인을 127.0.0.1로 해석함 (내 컴퓨터)
즉, gitlab.mlops.io → 내 PC에서 실행 중인 GitLab 컨테이너로 연결됨
왜 이게 필요할까
결론 정리
도메인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이름
로컬 IP (127.0.0.1) = 내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
도메인을 로컬 IP에 매핑 =
"이 이름으로 접속하면 내 PC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로 연결해줘" 라는 설정
'Data-Driven System Development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변수는 파라미터처럼 동작한다 — GITLAB_OMNIBUS_CONFIG 이해하기 (0) | 2025.04.22 |
---|---|
Docker Compose에서 container_name과 hostname의 차이점은? (0) | 2025.04.22 |
Docker Compose란? (0) | 2025.04.21 |
Docker Volume (0) | 2025.02.24 |
Docker 네트워크 II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