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 접근 vs 순차 접근 간단 비교
RAM의 정식 명칭은 **Random Access Memory(임의 접근 메모리)**이다.
그런데 "임의 접근"이란 말, 정확히 무슨 뜻일까?
그리고 "순차 접근"이랑은 어떻게 다를까?
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을 아주 쉽게 설명해본다!
임의 접근(Random Access)이란?
- 메모리 안의 어떤 위치든 바로 접근 가능하다는 뜻!
- 원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있든 동일한 속도로 접근 가능
- RAM은 이 방식 덕분에 CPU와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 비유하자면?
서랍장에서 어떤 칸이든 바로 열 수 있는 것과 같아.
순차 접근(Sequential Access)이란?
- 데이터를 순서대로 읽어야만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방식
- 중간 데이터를 건너뛸 수 없음
- 테이프, 하드디스크(HDD), 또는 네트워크 스트림 등이 대표적인 예
📼 비유하자면?
비디오 테이프에서 원하는 장면을 보려면 앞에서부터 빨리 감기 해야 하는 것과 비슷해.
임의 접근 vs 순차 접근 요약
그래서 왜 중요할까?
RAM이 임의 접근이기 때문에,
-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빠르고
- 멀티태스킹이 가능하고
-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는 거야!
마무리 요약
**RAM은 "임의 접근 메모리"**다.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찾아가서 바로 읽을 수 있기 때문!
반면, 순차 접근은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에서 큰 차이가 난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속도에 대한 이해도 더 깊어질 거야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배열에서 삭제 연산, 어떻게 동작할까? (0) | 2025.04.22 |
---|---|
파이썬 리스트는 왜 어떤 자료형이든 담을 수 있을까?배열이란? (1) | 2025.04.11 |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이 아니라 "위치"를 가리킨다? (0) | 2025.04.09 |
파이썬 변수는 "값"이 아니라 "값을 가리키는 것"이다! (0) | 2025.04.08 |
스토리지 vs 메모리(RAM) – 뭐가 다를까?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