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는 전기차 입지 선정입니다. 국내 전기차 보급량이 증가하고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 3000대 보급 목표하고 있다고 하네요. 전기차 충전소는 설치하면 이전이 어렵기 때문에 제한된 예산 내에서 가장 효과적인 전기차 충전소 설치 지역 도출이 필요로 하다고 합니다. 기존에는 대중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공용 전기차 충천기 인프라 위치한 탓에 떨어진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통행량 및 유동인구 등이 많은 곳에 공용성을 고려한 충천 인프라 설치가 필요하다고 해요.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공공데이터와 유동인구 등 민간 데이터를 연계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차 충전소 최적의 설치 예정지 도출과 제한된 예산 내에서 우선 설치 지역을 도출하기 위해 관내 입지를 시각화하여 후보입지에 대한 적합성을 분석해볼게요.
분석 목표와 활용방안
입지분석을 위한 요인들을 지수화하고, 가중치를 매겨 합산을 통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격자별 인프라 최적 입지를 선정할게요. 분석을 하는 이유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기차 충전소 우선 설치 지역 도출과 충전소 설치 후보지 결정에 대한 객관적 근거 활용 및 전기차 충전소 관련 효율적 정책 추진으로 볼 수 있어요.
분석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분석 → 결과 시각화
데이터
- 격자 데이터
- 경제인구 데이터
- 건물 데이터
- 주차장 데이터
- 도서관 데이터
- 민원행정기관 데이터
- 전기차 데이터
- 충전소 위치 데이터
- 교통량
- 변압기
- 전기안전관리자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자세하게 분석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공간 분석 > 전기차 입지 분석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입지 선정 B (0) | 2022.11.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