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코드를 문서화(docstring)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협업 시 함수나 클래스의 동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관된 스타일의 문서화가 필요합니다. 여러 포맷이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Google Docstring 스타일을 사용하여 함수 문서화를 작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Google Docstring 스타일이란?
- 함수나 클래스의 동작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문서화하는 방식
- 가독성이 높고 협업에 유용한 포맷
📝 기본 구조
def 함수명(파라미터):
"""설명
Parameters:
파라미터명 (자료형): 설명
Returns:
반환값 자료형: 설명
"""
✨ 예제: 추천 영상 찾기 함수
def find_suggestion_videos(self, number_of_suggestions=5):
"""유저에서 추천할 영상을 찾아준다.
Parameters:
number_of_suggestions (int): 추천하고 싶은 영상 수. 기본값은 5
Returns:
list: 추천할 영상 주소가 담긴 리스트
"""
정리
✔ 가독성이 뛰어나고 협업에 적합
✔ 함수의 역할, 파라미터, 반환값을 명확히 설명
✔ 일관된 문서화 스타일 유지로 코드 관리 용이
'파이썬 > 클래스와 객체 지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4개의 기둥] 추상화와 파이썬 타입 힌팅 예제 (0) | 2025.03.20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4개의 기둥] 추상화와 파이썬 타입 힌팅(Type Hinting) (0) | 2025.03.20 |
🧐 스페셜 메소드(Special Method)란? (0) | 2025.03.20 |
파이썬은 순수 객체 지향 언어! 🐍✨ (0) | 2025.03.20 |
인스턴스 메소드 vs 클래스 메소드 (0) | 2025.03.20 |